
그렇지만 우분투의 진정한 안정화 단계는 출시 한달 후라는 말이 있죠^^ 여러 고수분들의 삽질과 안정화 업데이트 쌓이는 시기가 한달 정도 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사실 이번 우분투 10.04는 커널 리비전을 21번을 거치고, 또한 디자인 변화와 더불어 안정성에도 많은 힘을 기울인 버전이기 때문에, 완성도가 상당히 높습니다. 발견되는 버그들도 기존 버그(-_- )를 제외하면 없을 정도로 삽질이 거의 필요 없지요. 전 그래서 감히 우분투를 처음 설치하시는 분들도 우분투 10.04를 설치하라고 권하고 싶습니다.(곧 출시하게될 코분투도 적극 추천합니다^^)
데스크탑과 노트북에는 우분투 10.04가 이미 설치되어 있었지만, 이번에도 삽질 포스팅을 위해(라기보다 9.04 때부터 한번도 안밀었으니 밀 때가 되긴 했었죠-_-) 우분투를 루트부터 홈폴더까지 싹다 밀었습니다. 우분투 설치후 대부분의 문제는 9.10에서 발생하던 것과 동일했습니다.
1. 파이어폭스 글꼴 문제
오픈오피스 3.2로 버전업 되면서 이전 버전에서 발생하던 글꼴 문제는 더이상 발생하지 않습니다만, 대신 파이어폭스 3.6에서 문제가 발생합니다. -_- 파이어폭스의 글꼴이 글꼴 설정을 먹지 않고 힌팅이 지나치게 적용되어 글씨가 전체적으로 흐리게 보이는 문제이죠. 이 오류도 역시 예전의 한글 폰트 설정 파일의 문제입니다. 이 파일은 한국 우분투 로컬팀에서 개선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만.. 아예 없는게 더 나을지도 모르겠습니다. -_-
Alt + F2를 누른 다음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 다음 현재 실행 중인 파이어폭스를 재 시작하면 글꼴이 제대로 돌아옵니다. 아래 명령어는 지역적인 한글 폰트 설정 파일을 삭제해주는 명령어입니다.
gksu rm /etc/fonts/conf.d/29-language-selector-ko-kr.conf
2. 네트워크 서비스 탐색 비활성화 메시지

9.04 이후로 이 설정 파일은 삭제되었기 때문에 새로운 설정 파일을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알고보니 설정 파일의 위치가 이동한 것이었습니다. -_-;;(Ferret님께 감사드립니다^^)
Alt + F2를 누른 다음 아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gksu gedit /usr/lib/avahi/avahi-daemon-check-dns.sh
그 다음 아래 부분을 찾아 1 을 0으로 수정해줍니다.
AVAHI_DAEMON_DETECT_LOCAL=1 이 부분을
AVAHI_DAEMON_DETECT_LOCAL=0 으로
수정해줍니다^^
그러면 다음 부터는 해당 오류가 나타나지 않을 것입니다^^
3. NTFS 자동 마운트
이전 버전까지는 NTFS 파티션을 자동 마운트 할 때는 ntfs-config 같은 도구를 사용했었는데요, 그런데 사실 이 도구는 ntfs 파티션만 자동 마운트 해줄 뿐더러 설정할 수 있는 부분이 너무 적습니다.(게다가 이번 버전부터는 모든 NTFS 파티션을 자동으로 마운트 하더군요.)
그래서 이번에는 /etc/fstab을 수정할까 하다가 찾아낸 프로그램이 바로 이 프로그램입니다.


설치하는 방법은 시냅틱 관리자, 혹은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에서
pysdm
으로 검색하여 설치하면 됩니다.
4. 64비트 우분투 파이어폭스에서 플래시에 클릭이 안되는 문제
이 문제도 고질적인 버그지요-_- 우분투 9.10에서 등장하여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습니다. 플래시의 버그라기보다 32비트 넷스케이프 플러그인을 64비트 브라우저에서 돌려주는 역할을 하는 ndiswrapper의 문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는 64비트 우분투에서 32비트 브라우저를 쓴다면 애초부터 발생하지 않을 문제입니다. 64비트 맥이나, 윈도의 경우 플래시를 돌리려면 32비트 브라우저를 쓰라고 권고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64비트 리눅스는 64비트 브라우저를 사용하기에 문제가 발생합니다.
해결 방법은 ndiswrapper를 통한 플래시 플러그인 설치가 아니라 64비트로 컴파일된 플래시 플러그인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고맙게도 어도비는 리눅스에서 실행되는 64비트 브라우저를 위해 리눅스용 64비트 플래시 플러그인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래 파일을 다운 받으신 다음
libflashplayer-10.0.45.2.linux-x86_64.so.tar.gz
압축 파일을 풀어서 나오는 libflashplayer.so 파일을
.mozilla/plugins
(홈폴더에서 Ctrl + H 하면 숨겨진 폴더가 보입니다. 이 위치에 복사하면 해당 계정에서만 플래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에 복사하거나
/usr/lib/mozilla/plugins
(Alt + F2 한 뒤 gksu nautilus 하여 관리자 권한을 가진 노틸러스를 실행하여 복사하면 됩니다. 모든 계정에서 플래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에 복사해주면 됩니다^^
5. 후지쯔 P시리즈 노트북(LG C1 포함)의 터치스크린 문제
후지쯔 P시리즈의 터치스크린 드라이버는 약간 특이한 형태로 작동하는 드라이버입니다. X에서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터치스크린에 입력된 값을 토대로 포인터를 옮겨주는 스크립트를 실행하는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이 스크립트를 동작하기 위해서는 펄 모듈인 X11::GUITest와 wacom-tools에 포함되어있는 실행 파일 중 하나인 wacdump가 있어야 합니다.
아직까지 후지쯔 P시리즈 노트북을 사용하시는 분들이 얼마나 되며, 거기에 아직까지 우분투를 설치해서 쓰시는 분들이 몇이나 될런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현재 이 드라이버는 기존 설치 방법대로 동작하지 않습니다. 첫번째 이유는 우분투 10.04의 펄이 버전업되었기 때문이고, 두번째 이유는 wacdump가 포함되어있던 wacom-tools라는 패키지가 사라져버렸기 때문입니다.
펄이 업데이트 된 부분은 GUITest를 새로 컴파일하여 패키징하면 되는 문제지만, wacdump 같은 경우는 정말 답이 없더군요. 저도 이 문제로 윈도 설치 혹은 우분투 8.04 설치를 심각하게 고민했었습니다. 그런데 의외로 해결방법은 간단했습니다. 예전 버전의 wacdump를 그냥 가져오면 되는 것이지요-_-
먼저 아래 패키지를 다운 받아서 설치합니다.
x11-guitest_0.21-1_i386.deb
아래 파일을 다운 받아서 홈폴더 안에 넣은 다음, 이 파일을 오른 클릭하여 속성 - 권한 - '파일을 프로그램으로 실행 허용'에 체크를 해줍니다.
tablet6.pl
그런 다음 Alt + F2하여
gksu nautilus
로 관리자 권한을 가진 노틸러스를 실행하여 아래 파일을 받아 /usr/bin/ 에 복사해주면 됩니다.
주의!) wacdump도 속성 - 권한 - '파일을 프로그램으로 실행 허용'에 체크해야합니다.(글의 오류가 늦게 반영되어 사과드립니다ㅠㅠ)
wacdump
그런 다음 시스템 - 기본 설정 - 시작 응용 프로그램에서 다음과 같이 시작 프로그램을 등록해줍니다.

6. 우분투 한글 맞춤법 검사기 설치하기
우분투 한글 맞춤법 검사기는 한국 오픈소스계의 승리라고 할 정도로 정말 고마운 작품입니다ㅠㅠ 정말 우분투를 사용하면서 가장 필요했던 기능이었죠. 우분투 한글 맞춤법 검사기는 한번 설치해두면 오픈오피스와 파이어폭스를 비롯한 우분투의 모든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한글 맞춤법 검사기는 언어팩이 완전히 설치되어있어도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시냅틱 관리자 혹은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에서
hunspell-ko
를 설치하면 됩니다.

7. 한국 우분투 저장소 쉽게 추가하기
한국 우분투 저장소에는 한국에서 우분투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패키지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네이트온, 피진 네이트온의 최신 버전을 설치하려면 이 저장소를 이용해야 합니다. 그런데 저장소 추가 하는 방식이 상당히 까다롭지요. 소프트웨어 소스에서 저장소를 추가해도, 인증키를 받아와야 하는 작업도 있고 여러모로 불편합니다. 이런 경우 터미널에서 설치하면 좀 더 빠르고 쉽게 저장소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 - 보조 프로그램 -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면 한국 우분투 저장소를 쉽게 추가할 수 있습니다.
sudo add-apt-repository ppa:ubuntu-ko
8. 한글 입력기를 나비로 설정하기
우분투의 기본 입력기인 iBus 입력기의 한글 모듈도 많이 안정화 되어서 이제는 쓰는데 별로 불편함이 없습니다. 그러나 역시 다국어 입력기는 사용 중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한글과 영어만 사용하는 사용자라면 나비 입력기를 사용하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제가 사용한 한글 입력기 중 가장 문제가 적고 삽질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입력기입니다.
시스템 - 관리 - 언어로 들어가서 키보드 입력 시스템 부분을 nabi 로 바꿔준 뒤 재로그인하면 됩니다. 나비 입력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9. 왼쪽 창 버튼을 오른쪽으로 설정하기
이 문제는 사실 우분투 10.04의 최대 이슈였지요. 이 문제는 gconf-editor를 사용하여 바꾸는 방법도 있습니다만, 다른 테마를 적용하면 자연스럽게 창 버튼이 원래 위치로 돌아갑니다. 기본 테마에서는 창 버튼의 위치를 임의대로 바꿀 경우 테마가 어그러지기 때문에 gconf-editor를 사용하는 방법은 추천하고 싶지 않습니다.
10. 알림 메시지 위치를 원래대로(9.04 방식으로) 되돌리기
해당 포스팅 링크
11. 우분투 10.04에서 빠진 compiz 추가 효과 설치하기
해당 포스팅 링크
12. 우분투 10.04에서 zip 압축 파일 안의 한글 깨짐 문제
해당 포스팅 링크
13. 우분투 10.04 64비트에서 시작화면 딜레이 문제
해당 포스팅 링크
아직 해결 못한 버그
nvidia 독점 드라이버를 사용할 경우 부팅 화면의 해상도가 저해상도로 돌아가 버리는 문제
→ 이 버그에 대한 해결 방법은 이 글에 설명되어 있습니다만 제 경우엔 이상하게 적용이 되지 않았습니다.
노트북의 검콩(빨콩;포인팅 스틱)의 커서 흐르는 현상이 심해진 점
→ 예전 윈도에서부터 이런 현상은 있었지만 이번 버전은 좀 심합니다. 노트북의 노후화 문제가 아닐까 생각되긴 합니다ㅠㅠ
(이 글은 계속 업데이트 됩니다.)
덧글
도움이 아주 많이 되었습니다.
한글 맙춤법과 ㅇavahi 문제 요. 고맙습니다.
저도 이제 시험이 끝나고 집에 있는 리눅스를 10.04로 갈아치우(?)려 하는데,
좋은 참고가 될 것 같아요 ^^;;
제가 이전버젼에서 겪었던 문제인데....
nvidia 세팅 프로그램 설치하고 거기서 어떤 삽질을 했더니 수정되더군요.
어떤 삽질인지는 기억이....
암튼 저는 삽질 한시간정도 해서 고쳤던 기억이 있습니다.
혹시 도움이 될까해서 댓글달아요.
마음에 두고있었는데요 ㅋㅋㅋㅋ
예전 9.10 때도 이 블로그가 꽤 도움이 됐습니다. 특히 tablet 설치에 있어서요
근데 이번에 10.04에서는 타블렛이 안되네요.. 글을 읽어보니 컴파일을 해야 되는것 같은데
1. 설명대로 설치 다하고 wacdump도 넣었습니다.
2. 재부팅을 해도 아예 타블렛패드가 실행이 안되네요.
3. 펄 컴파일을 하는 법을 모르겠습니다.
도움 부탁드려요
찾기로 해서 path정하면 /home/ohy/tablet6.pl 로 되는데 그냥 써도 되겠죠?
아니면 반드시 ./tablet6.pl로 해야되나요? 혹은 새폴더 만들어서 거기다가 넣어도 되나요?
인터넷에 올라온 9.10 전 타블렛 형성하기는 대부분 전부다 해봤구요.
아마 앞서 얘기했던 컴파일 문제가 아닌가 하는데... perl을 이용한 컴파일 하는 법 좀 알려 주세요
여기 7.10인가?? 에서 perl컴파일 방법은 안되더라구요... 제가 제대로 못하는 것일지도 >.<
아 참고로 tablet6.pl 실행시에는 ready까지 뜨지만... 제 문제는 아예 터치가 안된다는 것입니다.. 쿨럭
관심 감사드려요 ㅎㅎ
http://search.cpan.org/~ctrondlp/X11-GUITest-0.21/GUITest.pm
여기에 설명되어있습니다만, 여기에 설명된 방법대로 하지 않고, 소스포지에서 소스 파일을 내려받아 일반적인 컴파일 방법으로 할 수 있습니다. 지금 이 포스팅에 올라가 있는 패키지도 그것을 통해서 제가 직접 만든 패키지이구요^^;;
Ready 상태에서 아무 반응이 없다면, serserial을 통한 과정이 필요할지도 모르겠네요. 혹은, xserver-xorg-input-wacom 패키지가 설치되어있는지도 확인해보세요^^
뭐가 문제인지는 모르겠구... 타블렛은 나중으로 미뤄두렵니다. 우분투 코리아 모임에 슬쩍 가보는 방법도 괜찮을 듯 ㅋㅋ
이래저래 c1에서는 터치패드의 좌우버튼과 위아래 키보드가 겹친다는 문제와, 아직 tablet화 못했다는 것 빼고는
완벽 구동입니다. ㅎㅎ 사운드 model찾느라 예전에 고생한기억 때문에 사운드문제는 쉽게 해결했구요
헤유... 우분투가 좋아지고는 있지만 윈도우가 정말 잘 만든거긴 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네요;;;
C1의 경우 터치스크린 관련 모듈이이번 커널에서 빠졌거나 변경 된 것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tablet6.pl을 잘 수정하면 사실 모든 터치스크린에서 쓸 수 있지만.. C1은 외국 문서도 거의 없으니 문제네요ㅠㅠ
그나저나...윗분 댓글보니 C1에서 우분투는... 안돌아가는 걸까요..
그외에 제가 아는 C1의 이슈는 마우스 오른쪽 버튼과 왼쪽 버튼이 각각 스크롤로 배당되어버리는(-_-;;) 문제도 있습니다ㅠㅠ
설정에도 그닥 문제 없구요. 독점드라이버 두가지(그래픽과 알수없는)다 설치해주시고,
사운드 카드는 직접 설정해주셔야 되구요 검색해보시면 알수있을거예요. 아니면 나중에 다시 올릴게요
그외에 터치스크린 부분은 제가 전문가가 아니라서 무엇을 손봐야될지 몰라서 그냥 포기했습니다.
그외에는 완벽 호환됩니다.
http://www.ubuntu.or.kr/viewtopic.php?f=20&t=11005
이거 제가 혹시나 해서 올렸던 건데... 뭐 답변은 없었구요... 그 밑에 제 나름대로 생각한거 올린 거 있어요
syneptic 이놈들도 독점 클로즈 소프트웨어 인것 같은데요... 윈도우에서 업글 하다보니 하드웨어 자체적으로 버튼에 대해서 어떤식으로 쓸 것인지 설정 가능하더라구요. 즉 하드웨어적으로 입력된 것을 멋진 우분투 개발자 들이 자체적으로 해결하려다가 보니깐, 그 안에서 충돌일어나는거 같습니다. 그리고 하드웨어 ver 6.4인데 뭔가가 vista 처럼 완성되지 않은 프로토를 팔아 먹은듯한 느낌입니다.. 그래서 안전성도 떨어지고 ㅎㅎㅎ
그냥 그런 듯 합니다. 사실 다른 놋북하고 비교할 수 있는게 아니어서;;;
결론은 소스오픈 안하는 시넵틱은 강아지!!!
사실 물어볼게 있는데, 터미널에서 폰트 간격이 이상하게 나오는건 어떻게 고치죠?
예전에 여기서 봤던거 같은데...
항상 유용한 팁들 잘 보고 있어요~ 감사합니다
루시드 설치하는데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어요. 감사합니다.
참고로 xnote 님의 터치스크린 문제는 아마 권한 오류일 가능성이 큰 듯 합니다.
저도 계속 실행되지 않아 문제가 뭔가 고민했는데요. 터미널에서 tablet6.pl을 실행해보고 이유를 알았네요.
tablet6.pl 실행 권한을 주더라도 usr/bin/wacdump 파일이 사용자 계정에서 권한이 없기 때문에 권한을 지정해줘야 하더군요.
그리 수정하고 나니 드디어 터치스크린이 작동합니다.
(calibration은 좀 더 고민을...=_=;;)
위 문제인 경우 tablet6.pl 을 터미널에서 실행하면 permission denied 이후 ready! 가 뜹니다.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그나저나 그럼 어떻게 파일을 공유하는 것이 좋을지..=_=;; 고민이군요.. 저 wacdump란 파일을 다른 우분투 PC에서 받으면 권한이 어떻게 설정되나요?
그러나 wacdump 파일은 root만 접근이 가능했고,
우분투 로그인 시 넣었던 사용자 그룹으로는 읽기도 금지더군요;;;
그래서 관리자 계정 nautilus 로 사용자 그룹에 접근 권한을 넣었습니다.
저도 하도 안돼서 한 사흘을 고민하면서 깔았다 지웠다 반복했는데,
너무 간단하게 풀려버려서 솔직히 좀 당황스러워요 =_=;;;
이차저차 다른 설정 전혀 건들 필요 없이요 오직 이것만 키면 되는 거였는데 고생했습니다.
다른분의 글을 보고 힌트를 얻어서 만지막 해본게 이렇게 좋은 결과를 ㅎㅎㅎ
하여간 정말 감사드려요~~ 이제 화면 세로가로 전환하기만 하면 백프로 윈도우와 같아지며
겉 모양은 거의 레오파드와 같아졌다는 ㅎㅎㅎ;;
하여간 감사드려요
"아.. 제가 설명에서 또 빼먹은 부분이 있었네요. 터미널에서 ./tablet6.pl 을 실행했을때 어떤 메시지가 나오나요? permission denied 혹은 실행 파일이 아니라고 나온다면, tablet6.pl 에서 오른 클릭 한 다음 속성 - 권한 - 파일을 프로그램으로 실행 허용에 체크해주시면 됩니다."
라고 "한달전"에 덧글로 달았는데 못보셨나 보군요. 적어도 본문을 한번 더 보셨어도 더 빨리 해결하셨을텐데요. 아쉽습니다.
"usr/bin/wacdump 파일이 사용자 계정에서 권한이 없기 때문에 권한을 지정해줘야 하더군요."
라는 말이 무슨뜻인지 몰라 한참 헤맸습니다. 노틸리스에서 wacdump 찾아들어가서 이것저것 해보니 단지 "파일을 프로그램으로 실행 허용" 에 체크하면 되더군요. (쉽게 설명해주세요... ㅠㅠ) xnotec1님도 그걸 말씀하신것 같습니다.
이제 타블렛모드(화면돌리기)와 버튼들만 해결되면 좋을텐데요. 좀더 공부해봐야지요. 이게 지원이 안되면 이번에도 우분투를 포기해야 할지도...
-------------------------
초보라서 조금이라도 전문적인 용어가 나오면 헤메고 있습니다. 제 경험으로는 작년까지만 해도 뭔가 정보를 얻으려 하면 전문적인 용어에 컴파일 및 권한문제로 헤메다가 포기하기 일쑤였죠.
10.04버전은 이전과는 확실히 달라졌더군요. 그래서 이제 좀 제대로 써보려 하는데 아직까지는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것 같습니다. 컴피즈나 베릴따윈 바라지도 않아요. 인터넷과 문서작업만 제대로 할 수 있게 하드웨어 드라이버만 잡아주는 정도면 만족할 수 있습니다
잡소리 한마디만 하자면, 우분투의 진입 장벽은 초보자들에게 지나치게 전문적인 설명이 아닐까 합니다. "뭘 쳐넣고 뭘 누르고"하는 식으로 설명하면 따라할 수 있겠는데, 뭘 컴파일하고 루트권한으로 어떻게 해라는 식으로 막연한 정보만으로는 저같은 초보는 좌절할수밖에 없지요. 떠돌이님처럼 친절하게 설명해주면 우분투 사용자도 많이 늘어날텐데 말이죠.
서비스 비활성화 문제는 아마도 kt dns 서버 문제일 겁니다. 이 녀석이 .local 도메인의 ip를 무조건 자기 아이피를 돌려준다고 들었습니다. dns 서버를 8.8.8.8, 8.8.4.4 (구글의 open dns) 이 두개로 바꿔 설정해보세요. 공유기 쓰신다면 공유기에서도 바꾸시고, /etc/resolv.conf 에서도 바꿔주시면 될겁니다. 맥미니서버 쓰다가 이와 비슷한 문제로 검색했던 기억이 납니다.
저는 리눅스보다는 mac과 freebsd를 조금 더 사랑합니다. ^^
좋은 내용을 많이 담아주셔서 종종 와서 배우고 가겠습니다. ^_^
혹시 이쪽 드라이버는 ath5k를 다시 업데이트 하면 되지 않을까요?
pci-e 드라이버 문제인지 흑흑흑
전 ar5006x인데요, 제대로 동작하는 듯 하지만 예전에 발생하던 문제가 다시 발생하기도 하는 등 문제가 있더군요..
혹시 무선랜 드라이버를 업데이트하신다면 백포트 모듈을 설치하는 것보단 차라리 커널 업데이트를 추천합니다만, 커널을 업데이트할 경우 nvidia나 ATI 등의 그래픽 드라이버는 재 컴파일 해야되는 경우도 있어서 주의를 요합니다. 아래 주소에서 최신 커널들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http://kernel.ubuntu.com/~kernel-ppa/mainline/
10.04 넘어와서도 또 도움을 받네요.
정말 P1510 계열 사용자의 빛이십니다.꾸벅.
데스크탑에서 밝기조절 애플릿으로 시도하여도 cannot get laptop panel brightness라고 에러메세지가 써있는걸보아 단순 fn키 문제가 아닌 모니터나 그래픽카드 호환문제 같아 보이는데 말이죠.
이전 버전에서 잘되다가 안된다면 어쩌면 그래픽 드라이버의 문제일지도 모르겠습니다..ㅠㅠ
위의 내용과 제가 했던 삽질들을 바탕으로 오직 글 뿐이지만.. 체계적으로 정리 해봤습니다 ^^
마우스 테마 문제가 있었는데 언급하시지 않은듯 해서 트랙백 함 쏘고 갑니다~~
이 대로 찾아서 하면 잘 되더군요..^^;
맨 아래에 해결책을 올려주셨는데 그 글이 제가 올려드린 글에 언급이 되고 있어요..ㅎㅎ
한번 읽어보시고 문제가 해결되시길 바래요!
http://idyllictux.wordpress.com/2010/04/26/lucidubuntu-10-04-high-resolution-plymouth-virtual-terminal-for-atinvidia-cards-with-proprietaryrestricted-driver/
어쨌든 팁 감사합니다^^ 포스팅에 곧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패치로 인해서 10.04에서 .local 문제로 알림 뜨는 것은 10.10 버전과 같이
gksu gedit /etc/default/avahi-daemon로 수정해야지 되는군요.
이곳에서 많이 배워갑니다. 유용한 정보 제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새 버전으로 새로 깔고 온갖 삽징을 해도 안되기에 문으해봅니다
설치할때 키보드 대한민국으로 했고 ibus고 작업창에 보면 한글2벌식으로 되어 있구요
그런데 키보드 입력시스템에 nabi 는 없고 lo-gtk th-gtk 와 none 이렇게 있네요
삼성 sync마스터 2494로 우분투내에서 모니터설정이나 하드웨어 드라이버 서치를 해도 안뜨네요
구글링을 통해서 설정하는 명령어를 찾아봤으나 모니터에 맞는 걸 못찾고있네요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