넵 안녕하세요. 저전력의 보드타입형 OpenPC를 만들고 계시는군요. 요즘은 모바일과 별개로 이런 분야도 각광받는 추세인듯 합니다. 저는 그냥 우분투를 사용하는 한낱 사용자에 불과한지라 제가 드릴 수 있는 것들이 얼마나 될지 모르겠네요. 나날이 번창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
다만 Ubuntu 10.04가 기본 운영체제라면 2013년 4월에 지원이 종료될텐데요, 업그레이드하실 계획이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이런 IT에 척박한 나라에서 힘든 꿈을 꾸고 계시는군요. ㅠㅠ 하지만 그 꿈을 이루기 위하여 노력하시는 모습이 부럽습니다.
우분투 서버 버전은 효율적인 자원 활용을 위하여 GUI가 빠져있습니다. 그렇다고 하여 서버를 반드시 콘솔에서만 사용해야하는 것은 아닙니다. 서버의 자원이 넉넉하다면, 쉬운 관리를 위하여 GUI 환경을 쓸 수도 있습니다.
또한 우분투 데스크탑 버전이라고 하여 서버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도 아닙니다. 몇가지 패키지 설치를 통해 우분투 데스크탑도 서버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습니다.(오히려 서버에 데스크탑 환경을 설치하는 것보다 데스크탑에 서버 기능을 설치하는 것이 더 간단할겁니다) 차라리 전 리눅스의 개념을 먼저 알기위한 목적으로 데스크탑 리눅스를 먼저 접해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데스크탑이든 서버든 똑같은 리눅스이기에 분명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전 우분투에 대한 질문을 메일로 받고 있지 않습니다. 질문과 그에 대한 답이 공개적으로 이루어져야 똑같은 문제를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점 양해해주시기 바랍니다^^ 되도록 방명록에 질문도 공개적이었으면 좋겠네요.
아아 이럴때면 저도 보람을 느낍니다. 최근은 관심의 무게가 전부 모바일 운영체제 쪽으로 넘어간듯 하지만 어떤 회사에도 지배되지 않는 운영체제로서 우분투는 그 나름의 존재 가치가 있다고 봅니다.(물론 캐노니컬의 영향을 받지만 마음에 안들면 우분투를 기반으로 다른 배포판을 만들어버리면 되죠 ㅋㅋ)
저도 처음 우분투를 쓰게 된 계기는 바로 안정성이었던 것 같습니다. 윈도는 최근에 나온 7은 정말 많이 좋아졌지만 그래도 어쩔 수 없이 쓰다보면 느려지더군요(-_- ) 언제 켜도 항상 빠릿빠릿하고 안정적인 움직임을 보여주는 우분투.. 덕분에 제 노트북도 수명이 3년은 더 연장되기도 했었죠 ^^
조금은 어려울 수도 있지만 관심을 갖고 쓴다면 이 세상 그 어떤 운영체제보다 강력해질 수 있는 우분투의 세계로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덧글
wubi가 지원이 안되어 아쉽네요.
예전 유저로써 아주 환영할만한 일이네요
다름이 아니고 우분투 책 때문에 글을 올립니다. 아시다시피 우분투 13.04가 나왔습니다.
우분투 13.04를 해설하는 책을 집필하실 계획이 없으신가 궁금합니다.
베타테스터들 의견에 의하면 우분투 13.04는 상당히 잘만들어졌다고 하더군요.
좋은 해설서가 나오면 크게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한번 고려해보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고수님을 조언을 듣고싶어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당사는 arm chip을 사용하여 open pc를 개발하는 회사입니다
물론 os는 ubuntu 10.04 를 탑재하였구요 현재 제품(board type) 까지 나온상태이구요
고수님께 조언을 듣고싶은 내용은 사용자 입장에서 추가할 내용과 삭제하여야할 사항의 조언을 듣고 싶으며
ubuntu를 배우고 싶은 학생 및 일반일을 대상으로 당사에서 개발한 제품을 직접 사용해 보며 서로 지식을 공유하는 자리를
커뮤니티를 만드는데 조언을 구하고저 합니다. 감사합니다. 010-3539-1157
다만 Ubuntu 10.04가 기본 운영체제라면 2013년 4월에 지원이 종료될텐데요, 업그레이드하실 계획이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sudo apt-get install을 통한 설치와
우분투 소프트웨어설치와 어떤식으로 다른지...
기초적인 것들을 깨우치려면 아무래도 책이 필요할까요? 컴퓨터 서적은 비싸서 학생이라 그런지 많이 고민이 되네요...
터미널부터해서 하드웨어 드라이브 설치까지 뭐 아는게 없습니다 ㅠㅠ
우분투 서버 버전은 효율적인 자원 활용을 위하여 GUI가 빠져있습니다. 그렇다고 하여 서버를 반드시 콘솔에서만 사용해야하는 것은 아닙니다. 서버의 자원이 넉넉하다면, 쉬운 관리를 위하여 GUI 환경을 쓸 수도 있습니다.
또한 우분투 데스크탑 버전이라고 하여 서버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도 아닙니다. 몇가지 패키지 설치를 통해 우분투 데스크탑도 서버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습니다.(오히려 서버에 데스크탑 환경을 설치하는 것보다 데스크탑에 서버 기능을 설치하는 것이 더 간단할겁니다) 차라리 전 리눅스의 개념을 먼저 알기위한 목적으로 데스크탑 리눅스를 먼저 접해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데스크탑이든 서버든 똑같은 리눅스이기에 분명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전 우분투에 대한 질문을 메일로 받고 있지 않습니다. 질문과 그에 대한 답이 공개적으로 이루어져야 똑같은 문제를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점 양해해주시기 바랍니다^^ 되도록 방명록에 질문도 공개적이었으면 좋겠네요.
이후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제가 아는 한도 내에서는 성실히 답변해드리겠습니다. ㅋㅋ
매번 윈도우를 사용하면서도 운영체제 레지스트리의불안정으로, 항상 언젠가는 밀어야 한다는 강박관념속에서 사용한다는게 늘 저에게 큰 부담이였거든요.
우분투를 돌린 이후로 더이상은 이런 강박관념이 없어져버렸습니다. 스넵샷 덕에 윈도우도 가상머신으로 너무나도 편하게 돌리고 있구요, 특히나 네트워크 작업하기에는 윈도우와 비교도 못할정도로 잘 갖춰저 있기 때문에 너무나도 만족스럽게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시 한번 써주신 책에 대하여 감사드립니다. 무료이지만 쓰기에 따라 무척이나 강력해지는 이렇게 뛰어난 운영체레를 앞으로도 많이 알릴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저도 처음 우분투를 쓰게 된 계기는 바로 안정성이었던 것 같습니다. 윈도는 최근에 나온 7은 정말 많이 좋아졌지만 그래도 어쩔 수 없이 쓰다보면 느려지더군요(-_- ) 언제 켜도 항상 빠릿빠릿하고 안정적인 움직임을 보여주는 우분투.. 덕분에 제 노트북도 수명이 3년은 더 연장되기도 했었죠 ^^
조금은 어려울 수도 있지만 관심을 갖고 쓴다면 이 세상 그 어떤 운영체제보다 강력해질 수 있는 우분투의 세계로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